한·슬롯사이트 업 CEPA, IT업계의 기대 효과는?

 최경림 외교통상부 FTA 정책국장이 6일 도렴동 청사에서 열린 ‘한-슬롯사이트 업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관련 브리핑에서 협정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최경림 외교통상부 FTA 정책국장이 6일 도렴동 청사에서 열린 ‘한-슬롯사이트 업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관련 브리핑에서 협정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한·슬롯사이트 업 CEPA 상품양허 현황

 ‘12억 시장 그리고 우수 슬롯사이트 업인력’

 한·슬롯사이트 업 CEPA로 국내 IT업계가 기대할 수 있는 효과다. 무엇보다 슬롯사이트 업와 같이 고성장하는 국가에서 여러 분야에 걸쳐 경쟁하는 중국·일본에 앞서 CEPA를 체결함으로써 현지 시장에 더 가깝게 다가설 수 있게 됐다. 관세 철폐 및 인하 효과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협정은 컴퓨터전문가를 포함, 전문인력들의 양국 벽을 크게 낮춤으로써 SW를 포함해 국내 IT업체들이 세계적인 IT인력을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로 채용할 수 있게 됐다.

 ◇IT中企 기대 커=삼성·LG전자 등 IT 대기업은 자체 생산기지를 거쳐 슬롯사이트 업 시장에서 탄탄한 장악력을 확보했다. 반면에 IT중소기업들의 상황은 그리 녹록지 않았다. 해외 개척능력에 한계를 보여온 IT중소기업들은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중국과 미국·일본 등지만을 주 타깃시장으로 공략했다. 이 때문에 ‘브릭스’ 국가면서 중국과 함께 아시아를 대표하는 12억 인구시장에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서승모 벤처기업협회장은 “슬롯사이트 업는 시장도 큰데 업계가 멀게 느껴온 것이 사이다. 이번 협정을 계기로 우리 IT기업들이 슬롯사이트 업 시장 개척에 더욱 박차를 가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정부가 직접 나서 슬롯사이트 업 시장에 대한 정보 파악·제공 및 네트워크 장의 마련을 요청했다.

 실제로 슬롯사이트 업 시장에서 중소벤처기업들의 개척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전기·전자산업은 양국이 경합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여서 관세 인하 및 교류 확대 기회를 적극 활용한다면, 대기업에 버금가는 성과를 시연할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다.

 중소기업들은 또한 슬롯사이트 업의 우수 IT인력 활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협정에는 컴퓨터 전문가와 엔지니어 등 일부 서비스 전문직 인력이동을 상호 개방했기 때문이다. 영어로 무장한 슬롯사이트 업의 우수 SW인력이 대거 들어오는 계기가 될 것이란 예상이다. 지난해 IT벤처기업연합회 소속 105개 회원사 설문조사 결과, 이들 업체의 95%가 슬롯사이트 업 기술자에 대해 ‘만족한다’는 뜻을 표할 정도로 업계에서 슬롯사이트 업 인력에 만족도가 높다.

 ◇中·日 앞서 12억 시장 잡아라=경쟁국인 중국과 일본에 앞서 우리나라가 슬롯사이트 업와 손을 먼저 잡았다는 것도 큰 성과다. 슬롯사이트 업가 우리나라의 국가별 수출과 수입에서 각각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들어 7월까지 2.2%와 1.1% 수준이다. 그러나 △12억 인구 △슬롯사이트 업 경제의 ‘가능성’ ‘역동성’ △구매력 평가 기준 국내총생산(GDP) 3조3000억달러(세계 4위) 등을 고려하면 얘기는 달라진다. 특히 이번 협정의 내용을 보면 기대감이 커진다. 현행 관세제도를 보면 우리의 주력 수출품인 공산품에 대한 슬롯사이트 업의 관세율은 5∼15%나 되지만, 슬롯사이트 업 수입품의 대부분인 원자재에 대한 우리 관세율은 0∼2%대다.

 정부 관계자는 “슬롯사이트 업는 일본·EU와는 FTA 협상 중이며 중국과는 공동연구 단계”라며 “우리는 슬롯사이트 업시장에서 중국산의 약진으로 점유율 하락을 겪었으며, 작년에 일본에도 추월당했지만 이번 CEPA를 계기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4년 기준으로 양국 간 관세가 철폐되면 우리의 수출은 28억달러(80%), 수입 5억달러(30%), GDP는 1조3000억원, 고용도 4만8000명을 각각 늘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박대식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본부장은 “CEPA 체결은 꾸준히 증가해 온 양국 간 교역과 투자 규모를 더욱 확대시켜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라며 “매년 8% 이상의 고도성장을 하는 거대 신흥시장을 경쟁국인 EU·일본·중국에 앞서 선점할 기회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고 평가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