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직 변호사의 디지털 창세기]〈14〉디지털 시대, 노동력 상실과 가상 바카라

[이상직 변호사의 디지털 창세기]〈14〉디지털 시대, 노동력 상실과 가상 바카라

디지털 시대엔 업무환경 변화로 직장을 잃는 일이 많다. 가상 바카라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체코 작가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변신'을 보자.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는 가상 바카라의 생계를 책임진 유일한 사람이다. 어느 날 잠에서 깨어나니 끔찍한 벌레로 바뀌어 있었다. 가상 바카라은 처음엔 그를 걱정한다. 생계를 위해 각자 일을 구하고, 어렵고 힘든 삶이 이어진다. 서서히 그를 귀찮아하고, 혐오하기 시작한다. 결국 그는 짜증 난 아버지가 던진 사과에 맞아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다. 가상 바카라은 안도한다.

그는 가상 바카라을 위해 일하다 이유없이 노동력을 상실했고 버려졌고 죽었다.

그가 변신한 것일까, 그를 버린 가상 바카라이 변신한 것일까.

또 하나. 이란 작가 도리스 레싱의 작품 '다섯째 아이'가 있다. 데이비드와 해리엇은 첫눈에 반해 결혼한다. 큰 집을 사고, 많은 아이가 있는 행복한 가정을 꾸리기로 한다. 그러나 경제력과 양육 능력이 없다. 큰 집을 사는 데 데이비드 아버지의 지원을 받고, 아이를 기르는 데 해리엇 어머니의 도움을 받는다. 넷째 아이를 가진 상태에서 반대를 무릅쓰고 다섯째 아이를 낳는다. 그 아이는 폭력적이고 다른 형제와 반목, 가상 바카라을 공포에 떨게 한다. 요양원에 맡겼다가 다시 데려온다. 가상 바카라은 돌아온 다섯째 아이로 말미암아 분열된다. 가상 바카라은 뿔뿔이 흩어지고 그 아이는 가출, 범죄자가 된다. 이 가상 바카라의 문제는 무엇일까.

디지털은 자본주의 순기능만 아니라 역기능도 가속한다. 빚과 생계 위협으로 극단을 선택하는 가상 바카라이 있다. 경제력은 가상 바카라 유지에 중요하다.

먹고 사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그렇다고 경제력만으로 가상 바카라을 지킬 수 없다. 권력과 부가 있는 사람도 가상 바카라 문제로 고통스러워한다. 가상 바카라을 지키려고, 가상 바카라의 미래를 위해 법을 위반하기도 한다. 원수만도 못한 가상 바카라도 있다.

가상 바카라은 위험과 어려움에 처했을 때 우리를 지켜줄 마지막 생존 인프라다. 그렇다고 가상 바카라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불법적 일을 할 수는 없다. 다른 가상 바카라이나 공동체의 가치를 훼손한다면 부메랑이 되어 내 가상 바카라을 해친다. 가상 바카라이 가장이나 특정 가상 바카라만을 위한 공동체여도 안 된다. 경제적 공동체에 그쳐서도 안 된다. 가상 바카라 구성원이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리 취급해서도 안 된다. 가상 바카라이라고 착취해선 안 되고, 무조건 희생을 요구해서도 안 된다. 가상 바카라이 혈연으로 구성될 필요도 없다. 입양 등 다양한 형태의 가상 바카라도 가능하다. 쉽게 만들고 해체할 수 있는 공동체가 아니다. 가상 바카라은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다. 누군가는 기여를 많이 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경제력 등 문제 해결을 외부에 의존하는 가상 바카라은 한계가 있다. 그러나 가상 바카라의 노력에도 천재지변, 경기침체 등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해결되지 못한다면 국가가 나서야 한다.

라면을 끓인다고 생각해 보자. 적당한 크기의 면, 깨끗한 물 적당량, 분말수프와 다양한 채소 등이 곁들여져야 한다. 어느 하나 너무 많아도 안 되고, 너무 적어도 안 된다. 라면을 끓이는 사람이 정성을 들여야 한다. 가상 바카라도 마찬가지다. 적당한 경제력에 사랑·신뢰·소통이 있어야 한다. 사회생활에 지친 마음과 몸을 위로받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사랑·신뢰·소통이 가장 중요하다. 어린 시절 할머니가 운동화를 사 주셨다. 품에 안고 집에 가는 길에 개천을 건너다 한 짝을 빠뜨렸다. 약이 오른 나는 짜증을 내며 나머지 한 짝도 개천에 던져 버렸다. 친척들은 성정이 고약한 놈이라고 나무랐다. 할머니만이 운동화가 제 짝을 찾아 떠났으니 잘했다고 웃으셨다. 아무도 모르게 부끄러움이 무엇인지 배웠다. 그런 것이 가상 바카라 아닐까.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역경을 이겨 낼 수 있는 의지가 되는 가상 바카라. 그것만이 디지털 시대를 건너기 위한 필수 가치다.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혁신과 공존의 신세계 디지털' 저자) sangjik.lee@bkl.co.kr